자궁의 정상 초음파 소견
-자궁은 부드러운 변 연을 형성하고 균일한 저 에코로 보인다.
-몸통과 바닥부는 중심선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
-폐경 후에 자궁은 성인 비율을 유지하면서 점차 위축된다.
-내막 강은 보통 비어 있으며 밝은 선으로 보인다.
-가임기 여성에서 내막 두께와 에코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내막의 두께: 가임기-0.4~1.4cm 이하,폐경 후-0.5cm 이하)
자궁의 정상 변이
1) 궁상자궁: 하나의 자궁 윤곽 내에 저부 부분의 내막이 분리된다.
2) 중격자궁: 하나의 자궁 윤곽 내에 자궁내막이 완벽하게 분리된다.
중격자궁은 혈류량의 감소로 자연유산의 위험도가 30~45퍼센트 정도이다.
3) 쌍각자궁: 자궁 내막강의 저부가 오목하다.
쌍각 자궁은 자궁강이 작아 유산 또는 조기분만이 될 수 있다.
4) 중복자궁: 분리된 두 개의 자궁으로 경부와 질도 각각 두 개다.
5) 쌍 경부 자궁:분리된 두 개의 자궁으로 경부가 두 개다.
Nobothian cyst
-정의: 자궁 내막 샘이 폐쇄되어 확장된 곳에 맑은 액체 또는 점액이 고인 것을 말한다.
출산 후 자궁경부에 새로운 조직이 재성장 함으로써 발생한다.
자궁경부에 만성 경부 염증, 경부 장기간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임상 문제: 크기는 0.2~4cm까지 다양하다. 물혹은 양성 물혹이며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폐경 전 여성에서 주로 발생한다.
-Nobothian cyst의 초음파 소견: 경계가 분명한 원형 또는 타원형이다.
단발성/다발성 물혹으로 보인다.
내부는 무 에코이며 음향증강을 동반한다.
중간선에 종종 석회화를 동반한다.
-Nobothian cyst 감별 질환: 경부의 아기 주머니는 컬러 도플러를 통해 배아의 심장을 확인한다.
자궁경부암의 경우에는 괴사한 종양이 불규칙한 물혹 구조물로 보인다.
자궁 근종
-정의: 자궁 근층에서 평활근이 과잉 증식되어 종양 형태로 보이는 것을 말한다. 가장 흔한 양성 질환이다.
-원인: 근종은 임신했을 때 성장이 빠르고 폐경 후에는 위축되거나 성장이 멈추는 것으로 보아 에스트로젠 호르몬과 관련이 있다.
-근종의 위치는 내막 하, 근 내, 장막 하에 위치한다.
-임상 증상: 임상증상이 없이 우연히 발견되며 그 농이 클 때 만져진다.
장막 하에서 발생한 근종이 커지면 주위 장기를 압박해 변비, 빈뇨, 요실금 등이 나타난다.
근종이 커지면 요관 압박으로 수신증, 요통, 골반통 등이 동반된다.
내막 하 근종은 내막을 압박하여 월경과다로 빈혈이 유발된다.
-초음파 소견: 경계가 분멸한 원형, 타원형으로 보인다.
근종은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저 에코로 보인다.
근종 내에 저 에코의 띠를 동반한다.
다발성인 경우 자궁이 비대해져 보인다.
근종의 섬유성 변화, 지방화, 출혈성, 석회화 등이 발생한다.
자궁경부에서 발생한 경우 자궁 경부암과 구별이 어렵다.
<난소의 정상 초음파 소견 >
-난소의 표면은 평활하고 모양은 타원형이다. 난포를 포함한 난소는 균일한 중간 정도의 에코를 보인다. 자궁 저부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한다. 미성숙 난포들의 크기는 0.3~2.5cm 정도이며 난소 안쪽 테두리를 따라 보인다. 난소가 자궁 뒤쪽으로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배란 직전 무 에코의 난포 크기는 2~4cm 정도이다. 난소 피질과 수질의 뚜렷한 경계는 없다. 폐경 후의 난소 크기는 1.5cm 정도이다.
-난소로 오인되는 것들: 장골동맥, 정맥, 장은 난소 또는 골반 종양으로 오인 될 수 있다. 난소 위치에 장이 난소처럼 보일 때 장의 연동운동을 확인할 수 있다. 골반의 횡단면에서 이상근, 장요근 등은 난소 또는 난소 종양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다.
이상근, 장요근은 연동운동이 없고 종단면에서 방추형으로 보인다.
<다낭성 낭소 증후군>
정의: 좌우 양측 난소 주변에서 여러 개의 물혹 등이 배열된 것이다.
일반적 특성: 호르몬의 불균형 때문에 수많은 작은 낭포가 생기면서 난소가 종대 된다.
난소의 체적이 2~3배 증가한다.
종대 된 난소 내부에 0.5cm 크기의 난포가 10개 정도 보인다.
'초음파'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췌장 고형 종양의 진단 (0) | 2023.01.04 |
---|---|
16. 급성 췌장염과 만성 췌장염 (0) | 2023.01.04 |
15. 췌장질환의 초음파 진단 (0) | 2023.01.01 |
14. 담도폐쇄와 담관 종양 (0) | 2022.12.31 |
13. 간내담관의 질환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