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

18. 자궁과 난소의 초음파 질환 자궁의 정상 초음파 소견 -자궁은 부드러운 변 연을 형성하고 균일한 저 에코로 보인다. -몸통과 바닥부는 중심선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 -폐경 후에 자궁은 성인 비율을 유지하면서 점차 위축된다. -내막 강은 보통 비어 있으며 밝은 선으로 보인다. -가임기 여성에서 내막 두께와 에코는 호르몬의 영향으로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내막의 두께: 가임기-0.4~1.4cm 이하,폐경 후-0.5cm 이하) 자궁의 정상 변이 1) 궁상자궁: 하나의 자궁 윤곽 내에 저부 부분의 내막이 분리된다. 2) 중격자궁: 하나의 자궁 윤곽 내에 자궁내막이 완벽하게 분리된다. 중격자궁은 혈류량의 감소로 자연유산의 위험도가 30~45퍼센트 정도이다. 3) 쌍각자궁: 자궁 내막강의 저부가 오목하다. 쌍각 자궁은 자궁강이 작아 유산.. 2023. 1. 6.
17. 췌장 고형 종양의 진단 췌장 고형 질환에는 췌장암, 신경내분비 종양, 고형 가성 유두형 종양, 림프종, 전이암, 국소 췌장염 등이 있으며, 장액성 낭선종이 초음파에서 고형 질환으로 오인될 수 있다. 실제 초음파에서 이들 고형 질환을 감별하기에 어려운 점이 있고, 초음파 검사에서 고형 질환이 발견되는 경우 감별과 향후 치료 방침을 결정하기 위해서 대부분 CT, MRI 검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초음파 검사에서 췌장의 고형 질환을 발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다. 이들 고형 질환 중 가장 흔하고 다른 질환과 감별이 중요한 종양이 췌장암이다. 이에 췌장암을 중심으로 몇 가지 흔한 췌장의 고형 종양에 대해 알아보겠다. 췌장암 췌장암은 이자관 상피 세포에서 발생하는 선암으로 췌장 악성 종양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2023. 1. 4.
16. 급성 췌장염과 만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 급성 췌장염의 원인은 매우 다양한데 알코올 과다섭취와 담석 질환이 70~90퍼센트로 가장 많다. 그 외에 내시경 역행 담췌관 조영술, 외상과 인근 복강 내 염증의 파급, 대사성 질환, 바이러스성 질환, 혈관 질환, 각종 약물, 유전성 췌장염, 그리고 췌장암 등이 알려져 있다. 발병기전은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든 췌장 소화효소, 리파아제 등의 활성화에 의한 자체 소화 효과로 인해 일어난다. 그러나 이런 효소의 활성화를 일으키는 기전에 대하여는 몇 가지 가설이 제시되어 있을 뿐 아직 완벽히 규명되지 않았다. 대표적인 가설은 1) 이자관의 기계적 폐쇄, 2) 세포독성 물질에 의한 이자관 상피 세포막의 파괴, 3) 담즙의 이자관으로의 역류, 4) 알코올 자극에 의한 췌액의 분비 과다 등이다. 췌장염의.. 2023. 1. 4.
15. 췌장질환의 초음파 진단 초음파 검사는 복부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기본적인 검사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췌장 질환의 진단에는 민감도가 낮고, 장내 가스나 복부 지방에 의한 제한적인 초음파 창으로 검사에 어려움이 있다. 이런 이유로 췌장은 복부 장기 중 초음파로 검사하기에 가장 어려운 장기 중 하나로 인식되어 있고 췌장에 생긴 병변은 초음파 검사 시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최근 초음파 장비의 발달로 생각보다 많은 경우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췌장의 검사가 가능하게 되었다. 보다 정확한 췌장 초음파 검사를 위해서는 췌장의 기본적인 해부학과 초음파 검사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췌장은 두부, 경부, 체부, 꼬리로 구성되는데, 상장 간 막 정맥이 두부와 체부의 경계가 되며 상장 간 막 정맥의 바로 앞에 위치한 부분이 경부이다. 체부와.. 2023. 1. 1.